탁월한 성과 창출을 위한 경영자의 역할과 책임

2017-10-30     김수진

 

2015년 04월 14일 서울 여의도 렉싱턴 호텔에서 4월 경영자 피드백 미팅(이하 경피미)가 있었다. 4월 경피미 특강은 류랑도 대표의 '탁월한 성과 창출을 위한 경영자의 역할과 책임'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왜 나에게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러다가 다른 사람에게 도움도 구하고 한다. 그러나 이유는 딱 하나이다. 목표가 명확하지 않아서 그렇다. 대한민국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표를 모른다. 결국은 성과를 잘 내기 위해서는 목표만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한 조직을 맡고 있는 리더와 경영자의 입장에서 역할과 책임이 무엇인가.
1. 경영자의 역할 
< 임파워먼트와 델리게이트 경영자의 관점에서 책임은 이익이다. 성과라고도 한다. 팀과 담당자는 성과, 경영자의 책임 성과는 이익이다.> 

(1) 임파워먼트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역할을 명확하게 맡기는 것을 말한다. 주로 도입을 한다든지, 업무 분장을 정확하게 해주는 것이 임파워먼트라고 한다. 이것을 잘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역량진단을 잘해야 한다. 일정 기간을 정해서 평가와 피드백을 해야한다. 그것을 인사고과, 역량평가라고 한다.

(2) 델리게이션
목표를 부여하고 실행을 위임하고 성과를 평가하고 피드백하는 것을 텔리게이션이라고 한다. 
많은 사람들은 책임은 주시고 권한을 왜 안주는가하는데 그것이 바로 델리게이션이다. 그런 델리게이션을 잘하기 위해서는 월간 성과 목표를 명확하게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 팀장들이 자기 중심으로 목표를 잡지 조직의 입장에서 성과를 못잡고 오해한다. 목표는 스스로 설정, 도전적으로 해야한다고 하는데 목표는 스스로 설정할 수 없다. 부여하는 것이다.

(3) 목표관리 = 성과관리
 월간,분기,연간 내가 원하는 목표를 하부 조직에게 부여할 수 있느냐가 리더이고 목표부여가 리더십이다. 효율적, 원대한 전략 등 명확하지 않다. 명확한 것은 목표부여이다. 

성과 3가지 요소로
첫 번째 언제부터 언제까지 인가 1년이냐, 1시간동안이냐 기간.
두 번째 성과는 내고자 하는 목적이 무엇인가. KPI라고도 한다. 
세 번째는 일정 기간 동안 원하는 목적물이 목표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성과라고 한다.
과라는 것은 대단히 기획적이고 사전에 내가 이루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성과란 ?
1. 성과 : 성공적인 결과
2. 成果 : 완성된 결과믈, 기대하는 결과물, 고객이 원하는 결과물
3. Performance : 鳥瞰圖
   Per (기준) + form ( 완성된 형태) + ance (상태, 행동) -> 한자어는 조감도라는 말이다.
성과를 내라, 조감도 대로 결과물을 내라 집을 짓던, 업무를 수행하던 네가 원래 만들고 싶어하는 것에 대한 성과를 내라 라는 의미이다.

 

Q. 왜 그렇게 열심히 일 했는데도 성과가 제대로 창출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대했던 성과가 부진한 이유는? 외부환경 & 내부역량의 문제인가.
외부환경은 경기, 산업성장률이라든가 정책을 경영하는 국가의 지도자들이 관리하는 지표이다. 기업인들이 신경 쓸 필요가 없다. 경제지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외부 환경에 대한 요인은 의미가 없다. 목표와 전략의 문제다. 외부 환경의 문제 10% 이내다. 내부 역량인 전략과 목표의 문제 인것이다.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4대 핵심 성공 요소 : 환경 > 목표 > 시간 > 역량

우리는 대안까지 준비하지만 성과가 낳지 않았다. 이것은 목표관리의 문제인 것이다. 모두들 성과를 내고 싶어하지만 아무도 전략과 목표에 대해 고민하지 않고 있다. 목표란 일을 통해 원하는 것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표현한다는 의미

목표가 영어로 무엇인가, objective -> 목표 / 객관적이라는 의미가 있다.
목표를 이야기할 때 서양사람들도 동양사람들도 눈에 보이게 표현하라고 말하고 있다. Goal 방향도 중요하지만, 목적에 맞춰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