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에 문화로 정착했다는 것은 누군가 시키지 않아도 자연스러운 것. OKR 문화 정착 위해 중요한 것은?
OKR 도입 첫 사이클 후 피드백 중요... 조직의 목표와 우선순위 위한 소통 자연스러워져 시행착오를 견디는 인내·구성원들과의 소통 및 피드백해야 OKR 문화로 정착해
OKR을 정착시키는 데 얼만큼의 시간이 걸릴까? 구글은 인텔의 존 도어로부터 전수받은 뒤, OKR을 도입하고 1년 반이 지나서야 성공적으로 적용했다고 밝혔다. OKR이 조직 내 적용되는 프로세스를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제도'로 OKR 적용하는 기간을 가진다. OKR의 개념과 방법에 익숙해지는 시간이다. ② '성과'로 OKR을 활용하는 시간을 가진다. OKR을 통해 조직 내 성과와 구성원들의 성장이 향상된다. ③ 문화로 정착시킨다.
OKR 도입 첫 사이클 후 피드백 중요... 조직의 목표와 우선순위 위한 소통 자연스러워져
스위스 호텔 예약 플랫폼 1위의 홀리데이체크는 애자일 방식의 일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OKR을 도입했다. 첫 번째 사이클 후 인사팀은 직원들의 어려움을 취합해서 다음 분기에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대안을 만들었다. 여러 차례의 OKR 사이클을 돌린 끝에 홀리데이체크는 애자일 방식의 일하는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었다. 그뿐 아니라 정보와 목표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부서 이기주의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었다. 만나면 조직의 목표와 우선순위에 대해 소통하는 것이 자연스러워졌다.
시행착오를 견디는 인내·구성원들과의 소통 및 피드백해야 OKR 문화로 정착해
새로운 제도나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첫 번째 분기 때 잘 안 된다고 해서 바로 포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경영자와 리더는 변화했을 때의 긍정적인 모습과 비전을 그려주고 구성원들과 계속해서 소통해야 한다.
빠른 시일 내 작은 성공 사례들을 많이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구성원들이 '이대로 하니까 진짜 되네?'라고 느끼며 성공의 맛을 통한 기쁨을 느낄 수 있게해야 한다. OKR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은 모두에게 새로운 시도이다. 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구성원들의 의견을 들으며 수정해가는 것이 필요하다. 표준화된 OKR을 정착시키는 것보다 우리 조직에 맞는 OKR을 만들어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
기존 조직의 제도와 일하는 방식에서 OKR과 마찰이 되는 것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비전가치, 리더와 구성원인재, 일하는 방식지식의 방향성이 일치할 때 비로소 하나의 조직 문화로 정착시킬 수 있다.
문화로 정착한다는 것은 누군가 시키지 않아도 모두가 특정한 방식으로 한다는 의미다. 구성원들이 OKR방식으로 일하는 것에 익숙해진다면 이제 OKR이 문화로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신입사원이 입사했을 때 별도의 교육을 따로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자신의 OKR을 수립하고 팀에서 활동하는 상태가 된다. 통상 100인 이하의 중소기업에서 OKR이 3~4회기가 지나면 자연스럽게 다음 분기의 OKR을 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