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10-18 00:32 (월)
[본컬럼] 지식이 경험을 만나야 지혜가 된다!
[본컬럼] 지식이 경험을 만나야 지혜가 된다!
  • 편집국
  • 승인 2017.10.31 00: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준비하라! 그러면 기회가 올 것이다.”

스승은 늘 이 말을 나에게 했지만, 뻔한 이야기라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렸다. 그런데 얼마 시간이 지나지 않았을 때 스승님께서는 돌아가셨고 이제 험한 세상을 헤쳐나가야 할 시기가 된 것이다. 이때 나를 붙잡아 준 말이 바로 이 말이다.

강사와 코치라는 직업으로 세상에 나왔지만 아무도 나를 알아주는 사람은 없었다. 그래서 도서관에 죽치고 앉아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끊임없이 준비했다. 하지만 기회는 오질 않았다. 그렇게 몇 개월의 시간이 흐르자, 어느 한 기업에서 강의 요청으로 연락이 왔다. 감사함도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두려움도 많이 느꼈다. 그만큼 준비했다고 했지만 막상 그 시간이 되면 부족함을 느끼는 것은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렇게 무사히 강의를 마치고 돌아오면서 나름 뿌듯함을 느끼는 시간이 되었다.

‘준비하라! 그러면 기회가 올 것이다’ 이 말의 뜻은 준비하면 언젠가 기회가 온다. 그리고, 그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 내가 경험한 지혜다.

지식은 경험을 만나야 한다. 우리는 조선시대 사람들보다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 시대보다 지혜는 부족한 것 같다. 왜냐하면 지식은 넘쳐나지만 그것을 경험할 시간은 점점 없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경험을 통해 생겨나는 지혜는 부족할 수 밖에 없다. 고용노동부에 J위원장과 인터뷰 할 기회가 생겼다. 이분과 인터뷰를 하면서 지혜를 배울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저성과자들을 어떻게 다루는지에 대한 지혜는 정말 귀중한 이야기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공무원은 순환보직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업무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저성과자들은 하기 싫은 업무을 맡게되면 주로 발생한다. 이럴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 이분의 표현에 의하면 리더는 결코 눈에 띄게 저성과자들을 다루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소리없이 조용히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을 몇 번이고 당부하셨다. 그리고, 저성과자라고 생각되는 사람은 주로 회의시간에 질문을 한다.

“A계장님, 이 처리 건은 어느 부서와 협조를 이루어야 하나요?” 당연히 답변하기 어렵다. 이럴 때 리더는 부드럽게 요청해야 한다.

“이 내용을 오늘 오후시간에 좀 알려주시겠어요?”

이렇게 가볍게 요청하는 것이 요령이다. 그러면 A계장은 그 일에 대해 무엇이 필요한지 준비하고 상사를 만나러 가게 된다. 그러면 상사는 거기서 멈추지 않고 또 질문을 한다.

“협조를 위해 저희가 준비할 사항들은 무엇이 있나요?”

그러면 A계장은 다시 머뭇거리기 시작한다. 그때 다시 요청한다. “우리가 준비할 사항에 대해 다음 회의 시간에 알려주세요”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이것이 K위원장이 가진 지혜였다. 이 분을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며 느낀 것은 내가 모르는 내용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와 그분의 차이는 경험이었다. 경험을 이길 수 있는 이론은 없다.

우리는 어떤 일을 잘하기 위해서 새로운 지식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식은 이미 가지고 있다. 단지 실행하지 않았고 지혜로 만들지 않았을 뿐이다.

 

글. 이동운 코치 (본코칭연구소 대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