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10-18 00:32 (월)
고용노동부, 4월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 발표…국내 사업체 종사자 38만 명 증가↑
고용노동부, 4월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 발표…국내 사업체 종사자 38만 명 증가↑
  • 이예지 인턴기자
  • 승인 2021.06.01 1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월 1인당 임금총액 360만 6000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8%(+13만 2000원) 증가
근로시간은 168.7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1시간(+0.1%) 증가
입직자 9만 8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 9000명(+19.4%) 증가, 이직자는 8만 8천 명으로 1천 명(-0.1%) 감소

5월 31일 고용노동부에서는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21년 3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60만 6000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8%(+13만 2000원) 증가했다.

상용근로자 임금총액은 379만 5000원으로 4.2%(+15만 4000원) 증가했고, 임시일용근로자는 169만 4000원으로 2.1%(+3만 5000원) 증가했다.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는 326만 4000원으로 3.5%(+11만 2000원) 증가했고, 300인 이상은 533만 7000원으로 4.3%(+22만 1000원) 증가했다.

3월 1인당 임금총액 360만 6000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8%(+13만 2000원) 증가 (사진=고용노동부 공식 블로그)
3월 1인당 임금총액 360만 6000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8%(+13만 2000원) 증가 (사진=고용노동부 공식 블로그)

300인 미만은 금융 및 보험업, 300인 이상은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등에서 특별급여 증가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임금상승률 확대했다.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830만 5000원), 금융 및 보험업(780만 1000원) 순이고,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86만 4000원),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240만 5000원) 순이다.

근로시간은 168.7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1시간(+0.1%) 증가 (사진=고용노동부 공식 블로그)
근로시간은 168.7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1시간(+0.1%) 증가 (사진=고용노동부 공식 블로그)

21년 3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68.7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1시간(+0.1%) 증가했다. 상용근로자는 1인당 175.5시간으로 0.5시간(+0.3%) 증가했고, 임시일용근로자는 99.4시간으로 0.9시간(+0.9%) 증가했다.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는 168.2시간으로 0.3시간(+0.2%) 증가했고, 상용 300인 이상은 171.2시간으로 0.8시간(-0.5%) 감소했다.

300인 이상 근로시간 감소는 제조업, 300인 미만 근로시간 증가는 전년동월 코로나19 영향으로 교육서비스업(개학 연기 등)에서 근로시간이 감소한 기저효과 등이 주효하다.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광업(191.9시간), 수도,하수 및 폐기물처리, 원료재생업(185.0시간) 순이고, 짧은 산업은 건설업(140.7시간), 교육서비스업(145.3시간) 순이다.

21년 4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18,602천명으로 전년동월(18,224천명)대비 379천명(+2.1%) 증가했다.

입직자 9만 8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만 9000명(+19.4%) 증가, 이직자는 8만 8천 명으로 1천 명(-0.1%) 감소 (사진=고용노동부 공식 블로그)
종사자수 및 증감률 추이 (사진=고용노동부 공식 블로그)

고용노동부 측은 “당월 종사자 수 증가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조치 유지와 전년동월 코로나19에 따른 종사자 수 감소가 기저효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또 정향숙 고용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거리두기 완화 조치가 유지되고 있는 데다 비대면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개발 수요가 증가하고,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 종사자도 늘었다”며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 더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상용근로자는 전년동월대비 10만 9000명(+0.7%)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23만 4000명(+14.0%) 증가, 기타종사자는 3만 6000명(+3.3%) 증가했다. 상용 300인 미만은 156만 2600 명으로 32만 3000명(+2.1%) 증가했고, 300인 이상은 297만 7000명으로 5만 6000명(+1.9%) 증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