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을 통해 농업인에서 농업경영인으로! 오늘은 조용한 산골농장의 장주인 대표님의 소중한 지식발굴사례! 농업지식화 비용절감 사례를 나누려고 합니다.
장주인 대표님의 조용한 산골농장 농가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농가 현황]
* 경영주(농장명) : 장주인(산골농장)
* 주 소 :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관항리
* 재배작목,규모 : 벼 23,000평, 콩 2,000평
경영계획서(AAP)를 작성하고, 실행한 뒤, 실행보고서(AAP)까지 작성하면서 발견한 장주인 대표님의 소중한 지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용 절감 : 창고정리를 통해 농약, 비료 재고를 확보하고, 농기구, 공구를 정리하여 경영비를 절감
장주인 대표님은 강소농 교육을 통해, 3년 후의 비전을 세우고 가시화 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 비전을 교육을 함께 했던 사람들과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박 2일간 장주인 대표님은 '비용절감하기'를 주제로 경영계획서(AAP)를 작성했습니다.
경영계획서(AAR)작성 후, 실제로 액션을 취한 후, 실행보고서(AAR)를 작성하고 피드백하는 것도 잊지 않았습니다. 지식경영의 시작은 여기서 출발합니다! 발굴한 지식은 기록하고, 피드백했을 때 진정한 지식으로 쌓이고, 이것이 시스템으로 정착화되는 것이 지식경영이기 때문입니다.
창고 정리하기 전의 모습을 보면, 어떤 기구가 어디에 비치 되어있는지 알기가 매우 힘든 구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족해서 사야하는 재고가 무엇인지, 아직 많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는 무엇인지, 각각의 재고는 얼마정도 있는지를 파악하기가 힘들었습니다.
작성한 AAP(경영계획서)를 바탕으로 장주인 대표님은 실제로 장고정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창고 정리가 완료 된 후의 모습은, 정리 전의 모습과는 정말 많이 다릅니다. 창고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농약 재고와 비료 재고를 파악하고, 모든 제품이 들어가야 할 자리를 정해서 그 자리에는 이름표까지 붙혀 놓았습니다.
피드백을 통한 농업지식화로 농업인에서 농업경영인으로 거듭나신 장주인 대표님처럼 또 다른 농업지식화 사례가 나오기를 기대합니다!
(자료 제공=가나안코칭컨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