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자는 사람을 통해서 일하는 사람이다. 경영자는 어떻게 사람을 움직일까 끊임없이 고민한다. 그들이 성과를 내야 하기 때문이다. 사람을 움직이는 힘에 관한 책도 많이 있다. 사람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
사람을 움직이는 힘은 어디서 나오는가? 지금 우리를 움직이는 힘은 무엇인가? 무엇이 과연 나를 출근하게 만들고, 야근하게 만드는 것일까? 무엇이 까다로운 고객 앞에서 나를 고개 숙이게 하는가? 무엇이 거친 상사의 언사에도 묵묵히 수용하게 하는 것인가?
사람을 움직이는 기초적인 이론
BH성과관리센터에서 운영하는 직장인학교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한다. 그들에게 "여러분은 현재 일을 열심히하고 있습니까?"라고 물어보면 90%이상은 "나름대로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라고 답한다. 사람은 다양한 이유로 일한다.
사람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 이에 관한 매우 기초적인 이론이 있다. 사람은 욕구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이다. 매슬로우는 사람의 욕구를 5단계로 표현했다. 그리고 하위의 신체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 욕구인 존중과 자아실현 같은 고차원적인 것들을 추구한다고 설명했다. 물론 마켓 3.0에서 필립 코틀러가 밝힌 것처럼 매슬로우 역시 ‘내가 그린 피라미드를 거꾸로 뒤집어 놓았어야 했다'고 고백했다. 사람을 움직이는 힘은 과연 무엇일까? 사람을 움직이는 힘에 관한 수많은 이론 중에서 주목할만한 이론은 성선설과 성악설이다. 공자는 성선설적인 입장을, 맹자는 성악설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현대 의학에서도 X이론과 Y이론이 상호 보완적으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성경에서도 우리 인간에 대해서 ‘하나님을 알만한 지식이 있다’고 평가하기도 하고 동시에 ‘마음에서 나오는 것이 악한 것이다.’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사람을 움직이는 네 가지 동기
지금 나 자신을 움직이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직원들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인가?
사람은 결국 이 네 가지의 동기로 인해서 움직인다. 두려움, 책임감, 사명감, 사랑이다. 나를 움직이는 동기일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움직이도록 촉진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경영자는 직원들을 대할 때 위의 네 가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람은 ‘사랑’으로 움직일 수있게 될 때 비로소 온전한 하나님의 형상을 모두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회사를 구성하는 직원들이 ‘사랑’으로 일하기를 원한다면 경영자가 먼저 동일하게 직원을 사랑으로 섬겨야 한다. 인류를 죄에서 구원하시기 위한 절체절명의 사명을 갖고 이 땅에 오신 예수님도 그 일을 사명으로 감당하신 것이 아니라 사람들을 끝까지 사랑하시다 보니 결국 사명이 완수된 것이다. 우리의 사업도 마찬가지이다. 고객을 사랑하다 보면 사명이 완수된다. 우리 모두가 그런 축복을 경험했으면 좋겠다.
사랑이 이끄는 삶
나의 일터는 여전히 두려움과 책임감, 사명감, 그리고 사랑이 공존한다. 때로는 현존하는 급박한 위협 때문에 두려움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때로눈 정말 하기 싫은 일을 책임감 때문에 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을 만나서는 비전과 사명을 외치기도 한다. 얼마전에 함께 하는 맴버의 작은 실수로 큰 곤란을 겪은 적이 있다. 몇 일을 두려움과 분노를 느끼기도 했다. 내 마음은 마치 바닥에 황토 흙이 깔린 투명 어항과도 같다. 언제라도 누군가 막대기를 집어 넣고 흔들면 어항 전체가 흙탕물이 되어 버린다. 두려움과 불안함에 사로 잡히게 된다. 하지만 내 마음 속 깊은 곳에서 한가지 희망이 있다. 그것은 '지금 함께 하는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그것만이 유일한 이생과 내생에 공통적인 가치이기 때문이다. 목적이 이끄는 삶이 아닌 사랑이 이끄는 삶을 살고 싶다. 나와 함께 하는 맴버들도 그렇게 살도록 돕고 싶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톨스토이의 단편,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서 세상에 내려온 천사가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해서 경험한 후에 고백하는 대사는 경영을 하는 우리에게도 사람을 어떤 존재로 대해야하고 그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일해야 하는지 좋은 교훈을 준다. 톨스토이의 깨달음이 오늘따라 더욱 깊이 다가온다.
"아! 나는 이전에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생명을 내려주시고 모두가 함께 살아가도록 바라고 계시다는 것을 알았으나 이번에는 한 가지를 더 깨달았습니다.
내가 깨달은 것은 다름이 아니라, 하나님께서는 인간이 뿔뿔이 떨어져 사는 것을 원하지 않으신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 각자에게 무엇이 필요한가를 계시하지 않으셨던 것입니다. 인간이 하나로 뭉쳐 사는 것을 원하시기 때문에 우리에게, 모든 인간을 자신을 위해서, 또 모든 사람을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를 계시하신 것입니다.
이제야말로 나는 깨달았습니다. 모두가 자신을 걱정함으로써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다만 인간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일 뿐 정말은 사랑에 의해 살아가는 것이라고. 사랑 속에 사는 사람은 하나님 안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그 사람 안에 계십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입니다."
『톨스토이.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서』
글. 김경민 (바른경영실천연합 대표)